안녕하세요 JNP 입니다.
1. 전파 장해 방지
- 가공전선로는 무선 설비의 기능에 계속적이고 또한 중대한 장해를 주는 전파를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방지하도록 시설해야 합니다.
- 1kV 초과 가공전선로 전파장해 측정용 루푸 안테나 위치및 방향 입니다.
(1) 위치 : 가공전선로와 직각 방향으로 외측 15m 떨어진 지표상 2m
(2) 방향 : 잡음 전계 강도가 최대가 되도록 조종합니다.
(3) 측정기의 기준 측정 주파수 : 0.5MHz
- 전파의 허용한도
(1) 531kHz~1602kHz 까지의 주파수대에서 신호 대 잡음비가 24dB 이상 입니다.
(2) 신호강도는 저잡음 지역의 방송 전계 강도읜 71dB 로 합니다.
2. 가공전선 및 지지물의 시설
(1) 가공전선
- 다른 가공전선로, 가공전차전로, 가공약전류 전선로, 가공광섬유 케이블선로의 지지물을 사이에두고 시설 해서는 안됩니다.
(2) 가공전선로의 지지물
- 다른 가공전선, 가공약전류전선, 가공 섬유케이블, 사이를 관통하여 시설해서는 안됩니다.
3. 가공전선로 지지물의 철탑 오름 및 전주 오름방지
(1)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의 발판 볼트 등은 지표상 1.8m 미만에 시설해서는 안됩니다.
4. 풍압 하중의 종류
- 중요한 부분은 블록 처리하였습니다. 외워 주세요 꼭!!!
- 을종 풍압하중
1. 전선 기타의 가섭선 주위에 두께 6㎜, 비중 0.9의 빙성이 부착된 상태에서 수직 투영면적 392Pa(다도체를 구성하는 전선은 333Pa)
2. 그 이외의 것은 갑종 풍압의 2분의 1을 기초로하여 계산 합니다.
- 병종 풍압하중
1. 갑종 풍압의 2분의 1을 기초로 하여 계한 합니다.
5. 풍압하중의 적용
6. 가공전선로 지지물의 기초 안전율
6-1 기초 안전율
1)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의 기초 안전율 : 2이상 입니다.
2) 이상 시 상정 하중에 대한 철탑의 기초에 대하여는 1.33 이상 입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05. [전기 설비 기술 기준] 보조 보호 등전위 본딩 및 피뢰 시스템 알아보자! (0) | 2022.09.13 |
---|---|
04. [전기 설비 기술 기준] 보호도체 단면적 및 접지저항값 을 알아보자! (0) | 2022.08.05 |
03. [전기 설비 기술 기준] 접지시스템 을 알아보자! (0) | 2022.08.04 |
02. [전기 설비 기술 기준] 절연저항 및 시험 전압 을 알아보자! (0) | 2022.07.28 |
01.[전기설비 기술기준] 전압의 구분 및 전기 용어 정리를 해보자! (0) | 2022.07.27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