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JNP 입니다.
오늘은 접지시스템을 알아보겠습니다.
1. 접지지스템의 구분
- 계통접지, 보호 접지, 피뢰시스템 접지
2. 접지시스템의 시설종류(공기업 및 기사 필기에 출제 되었습니다.)
- 단독접지, 공통 접지, 통합 접지
3. 접지지스템의 구성요소(공기업 문제에 출제 되었습니다.)
- 접지극, 접지도체, 보호 도체, 기타설비
4. 접지극의 매설
- 접지극 매설 깊이는 지표면으로 부터 [0.75m] 이상으로 매설 합니다.
- 접지극을 철주 밑면으로 부터 [0.3m] 이상의 깊이에 매설 합니다.
- 접지극을 금속체로 부터 [1m] 이상 떼어 매설 합니다.
5. 수도관 등을 접지극으로 사용하는 경우( 숫자 중요)
- 대지와의 전기 저항 값이 3Ω 이하의 값을 유지 하고 있는 금속제 수도 관로는 다음 조건에 맞게 접지극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5-1) 수도관로의 접속은 안지름 75mm 이상인 부분 또는 여기에서 분기한 안지름 75mm 미만인 분기점으로부터 5m이내의 부분에서 하여야합니다. 다만 대지사이의 전기 저항 값이 2Ω 이하인 경우에는 분기점으로 부터의 거리는 5m를 넘을수 있습니다.
5-2) 접속부에 전기적 부식이 생기지 않아야 합니다.
5-3) 수도관로를 등전위 본등 하여야 합니다.
5-4) 방호장치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6. 접지도체
6-1) 단면적
6-2) 접지도체는 지하 0.75m 부 터 지표상 2m 까지 부분은 합성 수지관 또는 이와 동든항 절연 효과를 가진 몰드로 덮어야합니다.(두께 2mm 미만의 합성수지제 전선관 및 가연성 콘바인 덕트 관은 제외 합니다.)
7. 보호 도체의 종류
- 다심케이블의 도체
- 충전도체와 같은 트렁킹에 수납된 절연 도체 또는 나도체
- 고정된 절연도체 또는 나도체
- 금속케이블 외장, 케이블 차폐, 케이블 외장, 전선 묶음
8. 보호도체 시설시 주의사항
- 보호 도체를 접속하는 나사는 다른 목적으로 겸용해서는 안됩니다.
- 접속부는 납땜으로 접속해서는 안됩니다.
- 보호 도체에는 개폐장치를 연결해서는 안됩니다.
- 보호도체 경로에 직렬로 접속해서는 안됩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06. [전기 설비 기술 기준] 전선로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2.09.15 |
---|---|
05. [전기 설비 기술 기준] 보조 보호 등전위 본딩 및 피뢰 시스템 알아보자! (0) | 2022.09.13 |
04. [전기 설비 기술 기준] 보호도체 단면적 및 접지저항값 을 알아보자! (0) | 2022.08.05 |
02. [전기 설비 기술 기준] 절연저항 및 시험 전압 을 알아보자! (0) | 2022.07.28 |
01.[전기설비 기술기준] 전압의 구분 및 전기 용어 정리를 해보자! (0) | 2022.07.27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