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JNP 입니다.
오늘은 보조 보호 등전위 본딩 및 피뢰 시스템을 알아보겠습니다.
1. 보조 보호 등전위 본딩 대상
1-1) 전원 자동 차단에 의한 감전 보호 방식에서 고장 시 자동차단시간이 계통별 최대 차단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입니다.
- TN 계통 에서 표의 경우 제외하고 5초 이하의 차단시간을 허용합니다
- TT 계통 에서 표의 경우 제외하고 1초 이하의 차단시간 허용 합니다.
2. 보조 보호 등전위본딩 도체
2-1) 두개의 노출도전부를 접속하는 경우 도전성은 노출도전부에 접속된 더 작은 보호 도체의 도전성보다 커야합니다.
2-2) 노출 도전부를 계통의 도전부에 접속하는 경우 도전성은 같은 단면적을 갖는 보호도체의 1/2이상이어야 합니다.
2-3) 케이블의 일부가 아닌 경우 또는 선로도체와 함께 수납되지 않은 본딩 도체는 다음 값 이상이어야 합니다.
3. 피뢰 시스템의 적용 범위 및 구성
3-1) 적용범위
- 전기 전자 설비가 설치된 건축물 및 구조물로서 낙뢰로부터 보호가 필요한 것은 또는 지상 으로부터 높이가 20M 이상인 것입니다.
- 전기설비 및 전자 설비 중 낙뢰로부터 보호가 필요한 설비 입니다.
3-2) 피뢰시스템의 구성
- 직격뢰로부터 대상물을 보호하기 위한 외부 피뢰 시스템 입니다.
- 간접뢰 및 유도뢰로부터 대상물을 보호하기 위한 내부 피뢰시스템 입니다.
4. 외부 피뢰시스템
4-2) 건출물,구조물 피뢰시스템
1) 수뢰부
- 수뢰부 종류 : 돌침, 수평도체, 메시 도체중 한가지 혹은이를 조합한 형식 입니다.
- 수뢰부 배치 : 보호각법,회전구체법 메시법중 한가지 혹은 조합된 방법, 건축물 구조물의 뽀족한 부분, 모서리등에 우선하여 배치합니다.
- 지상으로부터 높이 60M를 초과하는 건축물 구조물에 측뢰 피뢰 보호가 필요한 경우에는 수뢰부 시스템을 시설 하야합니다.(전체 높이 60M를 초과하는 건축물, 구조물의 최상부로 부터 20% 부분에 한하며, 피뢰시스템 등급 Ⅳ 의 요구사항에 따릅니다.
2) 인하도선
- 수뢰부와 접지를 연결 합니다.
(복수의 인하도선을 병렬로 구성해야 하고 경로의 길이가 최소가 되도록 합니다.)
- 수뢰부 배치 방법 입니다.
(보호 대상물에 접촉하지 않고, 1가닥 이상의 이하도선을 시설해야 합니다.)
- 건축물 구조물과 분리되지 않은 피뢰시스템
( 인하도선의 수는 2가닥 이상으로 합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https://link.coupang.com/a/Xi8Xt
퍼시스 풀메쉬 컴퓨터 의자 사무용 학생 책상 T50 AIR 리뉴얼 CHA6100AHP CHA6100WAH CHN6100AH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06. [전기 설비 기술 기준] 전선로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2.09.15 |
---|---|
04. [전기 설비 기술 기준] 보호도체 단면적 및 접지저항값 을 알아보자! (0) | 2022.08.05 |
03. [전기 설비 기술 기준] 접지시스템 을 알아보자! (0) | 2022.08.04 |
02. [전기 설비 기술 기준] 절연저항 및 시험 전압 을 알아보자! (0) | 2022.07.28 |
01.[전기설비 기술기준] 전압의 구분 및 전기 용어 정리를 해보자! (0) | 2022.07.27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