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03.[전력공학] 코로나 현상, 조상 설비를 알아보자!

전기기사/전력공학

by 전기전자 훈련소 2022. 6. 3. 09:00

본문

728x90

03.[전력공학] 코로나 현상, 조상 설비를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JNP 입니다.

 

오늘은 코로나 현상과 조상설비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코로나 현상(전기기사 단골 문제)

   - 고압 송전 계통에서 전선 표면의 전위 경도가 높은 경우 전선 주위의 공기의 절연이 파괴되면서 발생하는 방전현상

 

   - 공기의 절연 파괴 전압 DC : 30[kV/cm] , AC : 21 [kV/cm]

 

  - 방지 대책

     코로나 임계 전압을 높게하여 전선의 직경을 크게한다.

     가선 금구류 계량 한다.

 

코로나 손실 발생 공식

코로나 손실 발생 공식

σ : 상대 공기밀도(기압/온도) , E : 대지전압 , Eo : 코로나 임계 전압

 

코로나 임계 전압 공식 (코로나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최저 한도 전압)

코로나 임계 전압

Mo : 전선 표면 계수. M1 : 날씨 계수 , σ : 상대 공기밀도 , D : 전선의 직경

 

2. 전력용 콘덴서(병렬 콘덴서) : SC

   - 부하와 병렬로 접속하여 부하의 역률을 개선하기 위한 병렬 콘덴서

전력용 콘덴서 용량

3. 직렬 리액터 (SR)

단상 : 제 3고조파 제거

3상 : 제 5고조파 제거

 

직렬 리액터의 용량은 교류 기준 이론상 4[%] 용량으로 사용하나 실제는 5~6[%] 용량을 사용

 

리액터의 종류

4. 방전 코일 (DC)

   - 콘덴서에 축적된 잔류 전하를 방전하여 감전 사고 방지

   - 선로에 재 투입 시 콘덴서에 걸리는 과전압 방지

 

5. 전력용 콘덴서와 동기 조상기의 비교

주황색 칸의 내용을 중점적으로 공부하세요.

비교

6. 동기 조상기

동기 전동기의 여자 전류를 변화시켜 진상 또는 ㅈ3ㅣ상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부하의 역률을 개선하는 장치

여자 전류 (If) 증가 - 진상 전류(앞선 역률)

여자 전류 (If) 감소 = 지상 전류(뒤진역률)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