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JNP 입니다.
오늘은 BIL 과 보호 계전방식을 알아보겠습니다.
1. 기준 충격 절연 강도(BIL, Basic Impulse Insulation Level)
송전 계통에서 시설하는 선로 애자,개폐기 , 지지애자, 변압기 등에 대한 최소 절연 기준 값으로 피뢰기의 제한 전압을 기본으로 하므로 피뢰그의 제한 전압은 다른 기기류의 기준 충격 절연 강도 보다 낮아야한다.
기기의 여유도
2. 보호 계전방식
2-1) 보호 계전기의 구비 조건
- 고장의 정도 및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것
- 동작이 예민하고 오동작이 없을것
- 소비전력이 적고 경젲적일것
- 적당한 후비 보호 능력이 있을것
3. 동작시간에 의한 종류
순한시 계전기(고속도 계전기) : 고장 검출 즉시 동작하는 계전기
정한시 계전기 : 고장 검출 시 일정 시간 후 동작하는 계전기
반한시 계전기 : 고장 전류가 크면 동작시간이 짧고, 고장전류가 작으면 동작 시한이 길어져 동작하는 계전기
반한시 정한시성 계전기 : 고장 전류가 적은 동안에는 고장 전류가 클수록 동작 시한이 짧게 되지만 고장 전류가 일정 값 이상되면 정한시 특성을 갖는 계전기
4. 단락 보호 목적의 계전기
- 부족 전압 계전기(UV) : 전압이 일정 값 이하로 되었을때 동작하는 계전기
- 단락 방향 계전기(DS) : 어느 일정 방향으로 일정값 이상의 단락 전류가 흘렀을때 동작하는 계전기
- 거리 계전기(Z) : 계전기가 설치된 위치로 부터 고장점 까지의 전기적 거리에 비례한 한시 에서 동작
- 방향 거리 계전기(DZ) : 거리 계전기에 방향성을 가지게 한것
5. 모선 보호 계전 방식(전기기사 실기 자주 출제)
보호 해야할 번위가 좁고 뇌라든지 염해에 대해서도 충분히 절연을 강화하고 있기 때문에 사고율이 극히 낮다.
- 전압 차동 계전방식
- 전류 차동 계전방식
-위상 비교 계전 방식
- 방향 비교 계전방식
6. 발전기 보호 계전방식
- 내부 고장에 대한 보호 방식 : 차동 계전방식
- 외부 고장에 대한 보호 방식 : 반한시 과전류 계전기
7. 변압기의 보호 계전방식
- 차동 계전기 : 내부 고장 발생시 고저압 측에 설치한 CT 2차 전류의 차에 의 하여 계전기를 동작
- 비율 차동 계전기 : CT 2차측의 억제 코일에 흐르는 전류차가 일정 비율 이상이 되었을때 계전기가 동작
- 부흐홀쯔 계전기 : 변압기 내부 고장으로 인한 절연유의 온도 상승시 발생하는 유증기를 검출하여 경보 및 차단 을한다.
이상 입니다. 감사합니다.
07.[전력공학] 수력발전에 대해서 알아보자!_Chapter1 (0) | 2022.06.20 |
---|---|
06.[전력공학] 변전소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2.06.13 |
05.[전력공학] 이상 전압 및 피뢰기 를 알아보자! (0) | 2022.06.05 |
04.[전력공학] SVC,전력원선도,경제적인 송전 전압을 알아보자 (0) | 2022.06.04 |
03.[전력공학] 코로나 현상, 조상 설비를 알아보자! (0) | 2022.06.0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