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02.[전력공학] 등가선간거리,선로정수,를 알아보자!!

전기기사/전력공학

by 전기전자 훈련소 2022. 6. 2. 09:00

본문

728x90

02.[전력공학] 등가선간거리,선로정수,를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JNP 입니다.

 

오늘은 전력공학 등가선간거리,선로정수 이론과 공식을 알아보겠습니다.

 

1. 등가선간거리

- 직선 배열

직선배열

- 정삼각형 배열

정삼각형

- 정사각형 배열

정사각형

 

2. 복도체 

   - 가공 송전선로의 1상당 연결된 도체의 수가 2가닥 이상인것.

복도체 특징

   - 안정도를 증가시키고 코로나 발생을 억제한다.

   - 페란티 효과에 의한 수전단 전압이 상승한다.

   - 선로의 송전 용량이 증가한다

   - L은 감소하고 C는 증가한다.

 

3. 연가

   - 지상의 전선을 적당한 구간마다 바꿔 전체적으로 평형시킨다.(직렬공진방지, 유도장해 감소,선로 정수 평형)

연가

4. 작용 인덕턴스

   - 전선로에 전류가 흐를때 1상에 나타나는 자기 인덕턴스와 상호 인덕턴스의 합

(전기기사 취득할때 기본이 되고 아주 중요한 공식 입니다.- 출제 빈도 상)

작용 인덕턴스(단도체)

(r : 전선의 반지름 , D: 등가선간거리)

작용 인덕턴스(복도체)

5. 정전용량

   - 전선로 자체에 대지정전용량 Cs, 상호 정전용량 Cm가 있다.

 

1선당 작용 정전용량(부분 정전 용량)

   - 3상 1회선 : C = Cs+3Cm

   - 단상 1회선 : C = Cs+2Cm

 

 

1선당 작용 정전용량

정전용량(단도체)

 

정전용량(복도체)

 

 

6. 지중전선로

   - 직접 매설식 : 케이블을 직접 매설 하는 방식

                           차량이나 기타 중량에 의한 압력 시 1[m] 이상 깊이에 매설

                           차량이나 기타 중량에 의한 압력 이 아닐시 0.6[m] 이상 깊이에 매설

   - 관로식 : 맨홀을 통하여 케이블을 인입하는 방식

                    1[㎥] 이상의 통충 장치 시설할것

   - 암거식  :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하여 다회선 케이블을 수용하는 방식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