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JNP 입니다.
오늘은 지난 강의를 이어서 SMD 1608 저항 PCB DECAL 라이브러리를 그려보겠습니다.
https://engineer-jnp.tistory.com/33 이전 강의를 참고 해주세요
13) 2D LINE을 통하여 저항 가운데에 저항 기호를 그려 주겠습니다. 2DLINE 을 선택 해주고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하여 [PATH] 라는 명령어를 클릭해 주겠습니다.
그리고 각도를 조절 하는 명령어를 입력 합니다. [AA] 라는 명령이 입니다. 각도를 2D LINE 의 각도를 자유자재로 조절 할수 있습니다.
14) 우선 그리드의 단위를 0.1mm로 설정 하였으니 키보드의 좌우 위아래 방향 버튼으로 그려보겠습니다. 방향 버튼 1번 클릭할때마다 설정한 그리드 만큼 움직입니다.
PAD 와 PAD 사이의 가운데에다가 클릭을 한번 해주시고 방향키로 [아래로 1번] [오른쪽 3번] [아래 1번] [왼쪽 6번] [아래 2번] [오른쪽 6번] [아래 2번]을 반복해주세요 마지막에는 [왼쪽 3번] [아래 1번]을 반복 하여 입력을 하고 스페이스바를 눌러주겠습니다.
그러면 손쉽게 저항 기호를 그릴수 있습니다.
15) 2D LINE으로 저항 기호를 입력 하였다면 이미지의 LAYER를 바꾸는 작업을 하겠습니다. 기호의 1군데를 클릭 해주시고 [CARL + ENTER] 키를 입력해 주고 [Parent]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그리고 Layer 층의 [Silkscreen top] 로 변경 해주겠습니다.
16) 최종 완성된 SMD 1608 SIZE 저항 입니다.
17) 다그렸으면 안전하게 저장을 해줍니다. [File] -> [Save Decal] 을 클릭해 주겠습니다.
18) 그러면 [Save PCB Decal to Library] 라는 창이 나오는데
Name of PCB Decal : [Name] 를 지정해서 적어주시면 됩니다. ORCAD 와 맞춰줘야 하는 부분 입니다. 반드시 알아보기 쉽게 만들고 가독성 쉽게 만들어줍니다. 저는 Chip Resistance 의 약어를 참고하여 CR1680 이라는 명칭을 사용하 였으니 참고 해줍니다.
이름을 만들고 [OK] 버튼을 누르면 Part TYPE 을 만들어 것이냐고 물어 보는데,
우리는 PADS LOGIC 에서 회로도를 그려서 아트웍을 하는게 아니기 때문에 [아니요]를 선택해 줍니다. ORCAD -> PADS 강의가 끝나면 LOGIC -> LAYOUT으로 아트웍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9) 저항을 무사히 저장 하였다면 무사히 저장이 되었는지 검토 및 확인은 필수 입니다.
우선 [Exit Decal Editor] 을 선택 해서 [PCB DECAL] 창을 나가줍니다.
[File] -> [Library] 를 선택해주겠습니다
20) Library 저장 경로를 확인 하시고, 저장경로가 맞는지 원하는 라이브러리 파일에 저장을 하였는지 확인을 하시고
[Filter] -> [Decals] 를 클릭하고 우리가 직접그린 데이터가 맞는지 확인을 합니다.
test 라이브러리 파일에 cr1608이 제대로 저장이 되었는지 확인 하였습니다. 문제가 없죠..
참고로 [Decals] 옆에 [Parts] [Logic] 는 pads logic에 대한 라이브러리 입니다. 회로 그릴때 필요한 라이브러리 입니다.
이로서 이미지보고 따라하면서 smd 저항 (1608) 라이브러리 그리기를 마치겠습니다. 앞으로 2012를 그려볼것이며 캐피시터 soic sot23 cpu 등 라이브러리를 그려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09. [PCB DECAL] PADS LAYOUT 저항(2012)을 그려보자(PART2) (0) | 2022.03.10 |
---|---|
08. [PCB DECAL] PADS LAYOUT 저항(2012)을 그려보자(PART1) (0) | 2022.03.09 |
06. [PCB DECAL] PADS LAYOUT 저항(1608)을 그려보자(PART1) (0) | 2022.03.07 |
05. [PADS LAYOUT] PADS 간단한 단축키를 알아보자! (0) | 2022.03.06 |
04. [PADS LAYOUT] PCB DECAL 저항 및 캐패시터 사이즈 (0) | 2022.03.05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