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Jnp입니다.
오늘은 반전증폭기,비반전 증폭기 설계시 추가사항을 설명드리겠습니다.
반전 증폭기 기본 회로도와 최종 결과식을 보겠습니다.
(기본 회로도 입니다 - 바이어스 저항 및 커패시터 생략)
무엇을 설명하려고 기본 회로도 및 최종 공식을 가지고 왔냐면 바로 저항 입니다.
조건 1)Rf 가 2옴을 사용하고 Ri가 1옴을 사용하고
조건 2)Rf 가 2000옴을 사용하고 Ri가 1000옴을 사용하면 증폭률을 같습니다.
하지만 무엇이 다를까요? 힌트를 주면 바로 옴의 법칙입니다.
Vin 이 1V로 입력된다는 가정하에 Ri의 전류를 구해보면
조건 1 의 전류는 1A
조건 2 의 전류는 1mA 가 됩니다. 전류 차이를 보면 1000배가 차이 나는걸 볼수 있습니다.
문제는 무엇일까요 사용하고 싶은 OPAMP 데이타 시트를 보시면 OP07의 같은경우
채널당 출력전류는 15mA 가 최고 출력입니다. 최대 출력을 넘는 전류가 Output으로 나가면 어떻게 될까요
OPAMP 는 감당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그러면 저항을 바꾸어 주어 최대한 전류를 맞추는 작업이 필요할 것입니다.
최대 출력 전류(Output Short-Circuit Current) 라고 데이터 시트를 찾아보면 나올것 입니다.
또한 마우저 같은 홈페이지를 들어가면 최대출력 전류라고 나와 있는 모습을 볼수 있습니다.
또 OPAMP 를 설계시 중요한 부분은
Input Bias Current 입니다.
OP07 데이터 시트를 참고하시면 아래와 같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설계 하실때 입력 바이어스 전류가 지나치가 크게 설정이 되어 있으면 부품 발열등의 문제가 발생할수가 있고, 그와 반대로 적으면 원하는 증폭이 안되게 됩니다.
이를 참고하시어 OPAMP를 설계하면 좋겠습니다.
앞으로도 더욱더 좋은 강의로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06. [OP AMP] 차동 증폭기의 모든것을 알아보자 (0) | 2022.03.21 |
---|---|
05. [Op Amp] 입력 바이어스 전류 (0) | 2022.02.13 |
04. [OP AMP] - 비반전 증폭기 (0) | 2022.02.04 |
03. [OP AMP] - 반전 증폭기 (0) | 2022.02.02 |
02. [OP AMP] - 전압 팔로워 (0) | 2022.02.02 |
댓글 영역